밤하늘_천문학
별자리 시리즈 _ 6. 물병 자리 Aquarius
RAHE1001
2021. 12. 16. 14:28
1. 신화
물병자리는 그리스 신화에서 가니메데가 들고 있는 물병이라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우스는 아름다운 소년 가니메데를 보고 사랑에 빠져, 독수리(이 독수리가 독수리자리가 되었다)로 변신한 뒤 가니메데를 올림포스 산으로 데리고 가 신들에게 포도주를 따르는 일을 시켰다고 한다. 물병자리의 '물병'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은 그대로 에리다누스강으로 흘러간다. 이 물은 그리스 신화 속의 대홍수를 일으켰다고 여겨지기도 한다. (이 '물의 흐름'은 은하수와는 다르다.)
2. 점성술
서양 점성술에서 물병자리는 1월 20일 ~ 2월 18일에 해당된다. 이는 천문학상의 성좌와 인도의 황도 12궁(2월 16일 ~ 3월 11일)과는 다르다.
3. 별과 천체
- 물병자리 α(Sadalmelik 사달멜리크,왕의 행운의 한 사람): 하늘의 적도 부근에 있다.
- 물병자리 β(Sadalsuud 사달수드,최고의 행운)
- 물병자리 γ(Sadachbia 사다크비아,비밀의 행운의 별)
- 물병자리 δ(Skat 스카트)
- 물병자리 θ (Ancha 안카):봉황자리의 안카(Ankaa)와는 다르다.
- 글리제 876(Gliese 876)은 적색왜성 주변에서 발견된 최초의 행성계이다. 이 행성계는 세 개의 행성을 거느리고 있으며, 그 중 하나는 지구 질량의 6~8배 정도 되는 지구형 행성이다.
- 물병자리 91 b는 오렌지색의 거성 주변에서 발견된 행성으로, 질량은 목성의 2.9배이며, 0.3 AU의 반장축(半長軸)을 갖고 있다.
- 글리제 849 b는 적색왜성 주변에서 발견된 장주기를 갖는 목성형 행성이다. 2.35 AU의 반장축을 갖고 있으며, 질량은 목성의 0.82배이다.
4. 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