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밤하늘_천문학

별자리 시리즈 _ 7. 독수리 자리 Aquila

by RAHE1001 2021. 12. 16.

1. 역사

독수리자리는 톨레미의 48 별자리에 포함되었으며, 기원전 4세기의 유독소스(Eudoxus)와 기원전 3세기의 아라투스(Aratus)에 의해서 언급되기도 하였다. 현재는 IAU(국제천문연맹)이 인정한 현대 88개 별자리 중 하나이다.

톨레미의 목록에는 독수리자리와 안티노스자리(이전에 있었으나 사라진 별자리)를 합쳐 19개의 별이 있었으며, 헤벨리우스는 23개의 별을 독수리자리, 19개의 별을 안티노스 자리로 배정하였다.

두 개의 주요한 초신성이 독수리자리에서 관측되었는데, 첫 번째가 기원전 389년의 것으로, 금성보다 밝았다고 기록되었다. 두 번째는 1918년에 관측되었는데, 알타이르보다 밝게 빛나 독수리자리에서 가장 밝았다.

 

2. 신화

독수리자리의 명칭인 '아퀼라(Aquila)'는 제우스에 속한 새의 이름을 딴 것이다. 아퀼라는 제우스가 던진 번개를 되찾아오기 위해 이용되었으며, 양치기 소년인 가니메데를 신의 잔드리는 사람으로 쓰기 위해 데려가기도 하였다.

이 별자리를 로마에서는 '나는 콘돌(Vulture volans)'이라 부르기도 했는데, 이들은 거문고자리를 'Vultur cadens'라 불렀다.

 
스튐팔로스의 새를 떨어뜨리는 헤라클레스 (로마 시대의 모자이크)

독수리자리는 헤라클레스의 12가지 임무 중 하나인 스튐팔로스의 새(Stymphalian birds)로 여겨지기도 한다. 또한, 프로메테우스를 괴롭히는 독수리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이 독수리는 에톤(Ethon)으로, 헤라클레스가 쏘아 떨어뜨렸다.

인도 전설에는, 이 별자리는 절반은 독수리, 절반은 사람인 신인 '가루다'로 인식된다.

 

3. 별과 천체

4. 기호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