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_천문학19 별자리 시리즈 _ 17. 작은개자리 Canis Minor 1. 별과 천체 작은개자리는 두 개의 별로 된 작은 별자리이다. 작은개자리 α별 (α CMi, Procyon:프로키온)은 0.38 등급으로, 전 하늘에서 7번째로 밝은 별이다. '프로키온'의 뜻은 '큰개보다 앞서는'이고, 여기에서의 '개'는 큰개자리를 의미한다. 밤하늘에서 가장 밝은 시리우스보다 일찍 떠올라 곧 시리우스가 나타날 것을 미리 알려주므로 붙은 이름이다. 작은개자리 β별 (β CMi, Gomeisa:고메이사)은 2.9 등급이다. 작은개자리는, 별자리 크기가 작아 10등급보다 밝은 성단과 성운들이 없다. 2. 신화와 역사 작은개자리는 톨레미의 48개 별자리 중 하나였으며, 현대 88개 별자리에도 포함되었다. 이 별자리는 오리온이 데리고 다니는 두 마리의 사냥개 중 작은 개이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2022. 1. 11. 별자리 시리즈 _ 16. 큰개 자리 Canis Major 1. 별과 천체 사냥꾼 오리온을 따라다니는 두 마리의 개 중 하나를 나타내는 이 별자리는 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인 시리우스를 포함한다. 시리우스는 베텔게우스, 프로키온과 함께 북쪽 하늘에 겨울의 대삼각형을 만든다. 2. 역사와 신화 큰개자리는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였으며, 현대 88개 별자리에 포함되었다. 옛 유럽에서는 이 별자리를 악타이온의 사냥개 'Laelaps'라 부르기도 했으며, 너무 빨라서 제우스가 하늘에 올렸다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큰개자리는 오리온의 사냥개이며, 토끼를 쫓거나 황소와 싸우는 오리온을 돕는다고 한다. 로마의 미신에서는 큰개자리를 'Custos Europae'로 불렀는데, 이는 에우로페를 지키는 개로, 주피터가 황소로 변하여 에우로페를 납치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큰개자리.. 2022. 1. 11. 별자리 시리즈 _ 15. 사냥개 자리 Canes Venatici 1. 신화와 역사 이 별자리는 요하네스 헤벨리우스가 17세기에 도입하였다. 사냥개자리는 목동자리의 일부분이었는데, 처음에 그리스에서는 곤봉(그리스어:Κολλοροβος)으로 묘사되었다. 이러한 내용이 수록된 《알마게스트》가 아랍에 전해져 아랍어로 번역될 때에 아랍인들이 정확한 의미를 알지 못하고 비슷해 보이는 단어로 옮겨적으면서 목동의 구부러진 지팡이가 되었고, 이것이 다시 유럽에서 번역되면서 발음이 비슷한 '개'로 오역,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시대에까지 그대로 전해지게 되었다. 두 사냥개 중 북쪽의 것은 아스테리온(Asterion)이라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독립된 별자리로 간주되기도 한다. 남쪽의 개는 카라(Chara)라고 한다. 2. 별과 천체 사냥개자리(Canes Venatici)는 북쪽 하늘의.. 2021. 12. 17. 별자리 시리즈 _ 14. 게 자리 Cancer 1. 신화와 역사 게자리는 영웅 헤라클레스의 발에 밟혀 죽은 불쌍한 게의 별자리이다. 신들의 왕 제우스의 아내 헤라는 제우스의 외도로 태어난 헤라클레스를 미워하여, 그에게 12가지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도록 했다. 그 중 두 번째가 레르네의 괴물 히드라를 퇴치하는 것이었다. 히드라는 머리가 9개 달린 물뱀으로 머리를 잘라도 곧바로 머리가 새로 생겨나는 좀처럼 죽이기 어려운 괴물이었다. 헤라클레스는 히드라와 30일 동안 싸운 후 불을 이용하여 8개의 머리를 없애는 데 성공했다. 이때 헤라가 히드라를 돕기 위해 게 한마리를 보냈다. 게는 헤라클레스의 발가락을 물었지만, 결국 헤라클레스의 발에 밟혀 한쪽 발이 부러진 채 죽고 말았다. 헤라는 자신의 명령을 수행하다 죽은 불쌍한 게에 보답하기 위해 하늘의 별자리가.. 2021. 12. 17.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