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신화와 역사
이 별자리는 요하네스 헤벨리우스가 17세기에 도입하였다. 사냥개자리는 목동자리의 일부분이었는데, 처음에 그리스에서는 곤봉(그리스어:Κολλοροβος)으로 묘사되었다. 이러한 내용이 수록된 《알마게스트》가 아랍에 전해져 아랍어로 번역될 때에 아랍인들이 정확한 의미를 알지 못하고 비슷해 보이는 단어로 옮겨적으면서 목동의 구부러진 지팡이가 되었고, 이것이 다시 유럽에서 번역되면서 발음이 비슷한 '개'로 오역, 요하네스 헤벨리우스의 시대에까지 그대로 전해지게 되었다.
두 사냥개 중 북쪽의 것은 아스테리온(Asterion)이라 하는데, 경우에 따라서는 독립된 별자리로 간주되기도 한다. 남쪽의 개는 카라(Chara)라고 한다.
2. 별과 천체
사냥개자리(Canes Venatici)는 북쪽 하늘의 작은 별자리이다. 이 별자리는 목동자리가 쥐고 있는 끈에 묶인 두 마리의 개(Chara, Asterion)를 나타낸다.
동아시아의 별자리로는 태미원의 '낭장' 별자리에 해당된다.
- 가장 밝은 별은 사냥개자리 α²(α² CVn)이다. '코르 카롤리(Cor Caroli)'라는 별칭이 있는데, 에드먼드 헬리가 영국의 왕인 찰스 1세(또는 왕의 아들인 찰스 2세)를 기념하여 붙였다. 밝기는 2.90 등급이다.
- 사냥개자리 Y 별(La Superba)은 반 규칙적인 변광성으로, 158 일 정도의 주기로 4.7 등급에서 6.2 등급까지 변화한다. 이 별은 탄소로 되어 있는 별이며, 검붉은 색을 띠는 것으로 유명하다.
- 사냥개자리 AM 별은, 매우 푸른 별로, 밝기는 14 등급이다. 이 별은 격변 변광성(cataclysmic variable stars)이라는 특수한 별의 원형으로, 동반성은 주계열성이 아닌 백색왜성이다.
3. 기호
'밤하늘_천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자리 시리즈 _ 17. 작은개자리 Canis Minor (0) | 2022.01.11 |
---|---|
별자리 시리즈 _ 16. 큰개 자리 Canis Major (0) | 2022.01.11 |
별자리 시리즈 _ 14. 게 자리 Cancer (0) | 2021.12.17 |
별자리 시리즈 _ 13. 기린 자리 Camelopardalis (0) | 2021.12.17 |
별자리 시리즈 _ 12. 조각칼 자리 Caelum (0) | 2021.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