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하늘_천문학19 별자리 시리즈 _ 5. 극락조 자리 Apus Constellation 1. 역사 두 탐험가(Pieter Dirkszoon Keyser , Frederick de Houtman between)가 1600년경에 만든 12 별자리 중 하나이며, 요한 바이어의 《우라노메트리아(Uranometria)》(1603년)에 처음으로 실렸다. 뉴기니섬의 극락조(흔히 풍조라 부른다.)를 나타낸다. 2. 신화 근대에 만들어진 별자리여서 관련된 신화는 없다. 3. 별과 천체 극락조자리 θ성은 반규칙적인 맥동변광성(SRB)으로, 119일의 주기로 5.1등급 ~ 6.7등급 사이에서 밝기가 변한다.또한 이 별은 적색거성으로, 태양의 100배의 절대등급을 갖는다. 거리는 650광년이다. 극락조 자리에는 인상적인 성단이 많은데, NGC 6101, IC 4499, 매우 특이한 구조를 보이는 성운 IC 46.. 2021. 12. 16. 별자리 역사 _ 동아시아의 별자리 3원 28수의 체계로 대표되는 동아시아의 별자리는 한국을 비롯하여 중국, 일본에서 현대 천문학이 보급되기 전까지 수천 년 간 관측 기록에 쓰였다. 중국어권에서는 현대에도 항성의 이름을 부를 때 이 별자리 체계에 근거한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며(가령 天津四(Tiānjīnsì):데네브[1]) 한국의 경우,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많은 서적에 이 별자리 체계를 이용한 천문현상의 관측 내용이 기록되어 있어서 과거에 일어났던 천문현상을 연구하는 데에도 귀중한 자료로 쓰이고 있다. 3원 3원(三垣)은 '세 개의 울타리'라는 의미로, 세 쌍의 울타리로 구분되며 이들 울타리를 포함하는 별자리의 집단을 의미한다. 이들은 모두 황도 안쪽을 차지하고 있다. 태미원(太微垣)은 봄철 저녁 하늘에 자리.. 2021. 12. 15. 별자리 역사 _ 서양의 별자리 별자리는 대략 기원전 3천년 바빌로니아부근에서 시작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맨 처음 생겨난 이후 그리스 로마에게로 전승되었고 별자리에 자신들의 신화에 나온 영웅,동물등의 이름을 넣었다. 이는 고대 문서로도 확인이 가능하다. 기원전 8세기경 호머와 헤소이드의 작품에 오리온과 큰곰자리등이 나오고 기원전 3세기 경 시인 아라투스의 파이노메나에서 44개의 별자리 목록을 소개했다. 이후 대략 4~50여개의 별자리로 개수가 고정이 되어갔다. 현재 쓰이는 별자리는 2세기 후반 그리스의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정리한 48개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중세에 접어들며 별자리를 성도에 나타내려는 시도가 시작되었다. 페터 아피안에 의해 맨 처음 나온 성도는 프톨레마이오스의 48개 별자리 뿐만 아니라 머리털자리와 사냥개자리를.. 2021. 12. 15. 별자리 시리즈 _ 4. 공기펌프자리 Antlia Constellation 1. 역사 프랑스의 천문학자 라카유(Abbé Nicolas Louis de Lacaille)는 남쪽 하늘의 별자리가 없는 영역을 메우기 위해 14개의 새로운 별자리를 만들었는데, 그 중 하나가 이 공기펌프 자리이다. 원래는 'Antlia pneumatica'라는 이름이 붙여졌는데, 이는 프랑스 물리학자인 데니스 파핀(Denis Papin)이 발명한 공기펌프를 기념한 것이었다. 라카유가 전통 대로 신화로부터 별자리 이름을 붙이지 않고 대부분을 과학 기구에서 따왔기 때문에 공기펌프에는 관련된 신화가 없다. 2. 별과 천체 다른 신생 별자리들과 마찬가지로, 이 별자리도 밝은 별이 없어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이 별자리에서 가장 밝은 별인 공기펌프자리 알파(α)별의 겉보기 등급이 4.25등성인데, 이는 현대 .. 2021. 12. 15.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