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밤하늘_천문학19

별자리 시리즈 _ 13. 기린 자리 Camelopardalis 1. 역사 기린자리는 1614년 야콥 바르트쉬가 낙타자리(Camel)로 발표하였는데, 이후 명칭이 바뀌었다는 주장이 있다. 2. 신화 최초에는 성경의 레베카와 이삭의 이야기에 등장하는 낙타를 의미했다고 한다. 기린자리와 주변의 살쾡이자리는 별들이 희미하여 초기 그리스인들은 이 영역을 비어 있는 사막으로 생각하였다. 3. 별과 천체 기린자리는 18번째로 큰 별자리이지만, 특별히 밝지 않다. 가장 밝은 별은 기린자리 β로, 4.03 등급이다. 이 별은 이중성으로, 4.0등급과 7.4등급의 별이 모여 있다. 두 번째로 밝은 별은 기린자리 CS로, 바이어나 플램스티드 명칭이 없다. 밝기는 4.21 등급이며, 약한 변광이 있다. 약 4만 년 후에 보이저 1호가 AC+793888 별로부터 1.6광년의 위치를 지나갈.. 2021. 12. 17.
별자리 시리즈 _ 12. 조각칼 자리 Caelum 1. 별과 천체 조각칼자리(Caelum [ˈsiːləm])는 남쪽 하늘의 작고 어두운 별자리로, 라카유에 의해 도입되었다. 조각도자리, 조각구자리라고도 한다. 초기에는 'Cæla Sculptoris(조각가의 칼)'로 불렸다. 에리다누스자리 동남쪽에서 찾아볼 수 있다. 조각칼자리에는 4등급보다 밝은 별이 없으며, 작은 망원경으로 관측할 만한 흥미있는 천체는 거의 없다. 조각칼자리 α (α Caeli): 4.45 등급으로, 태양으로부터 약 65.7 광년 떨어져 있다. 조각칼자리 γ: 이중성으로, 소구경의 망원경으로 4.5 등급의 적색 거성과 7.34 등급의 백색 거성을 구별할 수 있다. 여러 NGC 천체들은 11.5등급보다 밝지 않고 크기도 3″를 초과하지 않아 관측을 위해서는 구경이 큰 천체망원경이 필요하.. 2021. 12. 17.
별자리 시리즈 _ 11. 목동 자리 Boötes 1. 신화와 역사 희미한 별들을 포함하여, 목동자리는 큰곰자리를 향한 큰 사람의 형체를 하고 있다. 우라노그라피아(1801년)의 목동자리. 위쪽에 사분의자리가 있다. 목동이 누군지에 대해선 확실한 이야기가 없다. 어떤 이야기에서는, 두 마리의 개 카라(Chara)와 아스테리온(Asterion)을 이용하여 큰곰자리에 있는 소를 모는 남자라고 한다. (여기에서 '개'는 사냥개자리와 관련이 있다.) 소는 북극에 묶여 있어서 목동자리는 줄곧 하늘의 같은 길을 회전한다. 목동은 또한 쟁기를 발명했다고도 한다. 이는 경작의 여신인 케레스(Ceres)를 매우 기쁘게 하여, 주피터에게 그 상으로 하늘에 별자리를 만들게 했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에서는 포도를 재배하는 '이카루스'라 한다. 그는 어느날, 로마의 신 바.. 2021. 12. 17.
별자리 시리즈 _ 10. 마차부 자리 Auriga 1. 역사와 신화 '카펠라'는 전설의 암염소 아말테아와 관련이 있다. 마차부자리 ε, 마차부자리 ζ, 마차부자리 η의 세 별은 아이들을 의미하는 'Haedi'라 불린다. 로마인들은 이 별자리를 헤파이스토스의 아들로, 걸음이 불편했던 아테네왕 에리크토니오스라 생각했다. 그는, 여신 아테나에게 도움을 받아 4두전차를 발명하였다고 한다.제우스가 그의 발명을 크게 여겨 하늘에 올려 별자리로 만들었다. [1] 마차부자리는 마차, 육안으로 알아보기에 희미한 별은 마차부로 여겨지기도 했다. 어쨌든, 이 마차부는 염소를 왼쪽 어깨로 넘긴 양치기로, 두 아이(밝은 두 별)를 가까이 데리고 있다고 여겨졌다. 동아시아에서는, 별자리의 5각형을 구성하는 5개의 별이 각각 5종류의 곡식을 대표한다고 생각했다. (콩별, 조별, .. 2021.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