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급함은 실패를 부르며 목표를 무너뜨릴 행동을 한다.
비현실적으로 기대하면 행동에도 영향을 미쳐서 원하는 결과와 더 멀어진다. 케이크를 빨리 굽기 바라는 사람은 계속해서 오븐을 열고 확인한다. 오븐을 열 때마다 열이 빠져나가고 결국 케이크를 굽는 시간은 늘어난다. 이렇듯 결과물을 빨리 얻고 싶을 때 자기도 모르게 노력을 방해하는 행동을 하게 된다.
눈에 보이지 않는 중간 과정도 받아들여라.
자녀 교육에 대해 한 부모 그룹은 대체로 미취학 아동이 떼쓰는 문제를 바로잡기를 원했다. 어린 아이는 원하는 것을 얻지 못하면 바닥에 드러누워 비명을 지르며 몸부림치는 행동으로 악명이 높다. 우리는 아이가 그렇게 관심을 끌려고 하면 무시하라고 권했다. 그러나 부모들은 그 방법이 통하지 않더라며, "목이 터져라 소리만 더 지르던데요."라고 말했다.
이들은 무시하는 방법이 효과를 보이고 있다는 사실을 미처 알지 못하고 있었다. 영악한 네 살 꼬마들은 부모가 더 이상 뜻을 받아주지 않는다는 메시지를 알아듣고는 판을 뒤집어 주도권을 잡으려 하고 있었다. 소리를 조금 지를 때 부모가 뜻을 받아주지 않으면 소리를 더 크게 질러서 원하는 것을 얻어낸다. 그리고 부모가 굽히고 들어갈 때마다 아이의 떼쓰기가 심해진다. 그러나 이렇게 주의를 끌려는 행동을 부모가 계속 무시할 수 있다면 아이는 떼를 써도 원하는 바를 얻지 못한다는 사실을 배운다.
목표를 향해 가는 길이 항상 똑바르지만은 않다. 상황이 좋아지기 전에 더 나빠질 때도 있다. 두 걸은 나갔다가 한 걸음 후퇴하는 기분이 들지도 모른다. 하지만 장기적인 목표를 잊지 말고 전진한다면 중간에 차질이 생겨도 앞날을 큰 그림으로 바라볼 수 있다.
잠재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찬나의 유혹을 거부할 의지가 있어야 한다. 나중에 더 큰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지금의 만족을 참아야 성공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당장의 만족을 참으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 IQ보다는 자제력이 높은 사람의 학업 성정이 좋다.
- 자제력이 높은 대학생은 자존감과 성적이 더 높고 폭식이나 알코올 중독에 시달릴 가능성이 낮으며 대인관계에 더 능숙하다.
- 즉각적인 만족을 참으면 우울증과 불안장애에 걸릴 확률이 낮아진다.
- 자제쳑이 높은 아이는 성인이 되었을 때 정신 및 신체 건강 문제와 약물중독 문제에 시달릴 확률이 낮다.
'내맘대로_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래가 아닌 '위로' 떨어지려면 (0) | 2022.01.25 |
---|---|
멘탈강화법_최종 (0) | 2022.01.13 |
멘탈강화법2_겸허함을 연습하면 강해진다. (0) | 2022.01.12 |
마시멜로 이야기 (0) | 2022.01.12 |
멘탈강화법1_실패한 후 다시 일어서면 강해진다. (0) | 2022.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