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과 같이/탄생꽃43 1월 22일 이끼 선태식물로도 불리워지며 그 종만해도 2만 3000종이 넘어가는 이끼는 분류학상 양치식물에 더욱 가깝게 분류된다. 그 중에서도 많이 알려진 이끼들의 종류는 1만3천여종, 그리고 물이끼, 솔이끼가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이끼 종으로 불린다. 대체로 잎과 줄기의 구별이 분명하지 않고 고목이나 바위, 습지에서 자란다. 이끼 테라리움 terrarium 'terra(땅)'와 'arium(공간)'의 합성어로, 유리 용기 안에 식물과 흙으로 꾸린 작은 생태계를 의미한다. 테라리엄의 원리는 자연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의 생리작용과 대기의 자연순환 법칙을 이용해 일종의 작은 생태계를 만드는 것이다. 테라리엄은 키우기 쉽고 큰 공간을 차지하지 않기 때문에 좁은 집이나 사무실에서도 기르기 좋다. 또 피규어나 각종 액세서리로 마음.. 2021. 12. 26. 1월 21일 담쟁이덩굴 (Boston ivy) 돌담이나 바위 또는 나무줄기에 붙어서 자란다. 줄기는 길이 10m 이상 뻗는다. 분포지역은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등지다. 꽃은 작고 황록색이라 눈에 잘 띄지 않으며 잎 반대쪽에 모여서 핀다. 작은 열매는 푸른빛을 띠는 검은색으로 새들이 먹는다. *쓰임새 한방에서 뿌리와 줄기를 지금(地錦)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어혈을 풀어주고 관절과 근육의 통증을 가라앉힌다. (두산백과) 식용으로는 줄기를 달여서 엿으로 만든다고 한다. *꽃말 우정 우애가 깊고 성실한 당신이 행복한 결혼이라는 행운을 차지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러나 애착심도 다른 사람보다 월등히 강하므로 때때로 상대를 잘못 보거나 고리타분한 사람에게 사로잡히는 일도 있습니다. 서로가 발전할 수 있는 그런 결합 상대를 찾도록 합시다. 2021. 12. 24. 1월 20일 미나리아재비(buttercup) 꽃은 5-6월에 핀다. 숲 가장자리나, 초지의 햇볕이 잘 들거나 반그늘의 습기가 많은 토양에서 자란다. 우리나라 고도가 낮은 산지와 야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년초로서 꽃잎이 노란색으로 윤이 난다. 우리나라 미나리아재비속의 여러해살이풀 가운데 가장 흔한 식물이며, 뿌리잎은 깊게 갈라지기는 하지만 겹잎이 아니라 홑잎이므로 다른 종들과 구분할 수 있다. 미나리를 닮은 미나리아재비는 전초에는 휘발성 자극성분이 있어 피부나 점막에 접촉되면 염증이나 물집이 생길 수 있으며, 먹게 되면 위장염과 중독증상을 일으킬 수 있어 조심해야 한다. *쓰임새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어린 미나리아재비는 관절염, 아랫배냉증, 종기 등의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일반인은 독성에 주의해야 한다. *꽃말 천진난만.. 2021. 12. 24. 1월 19일 소나무(Pine) 한국, 중국, 일본의 북부 고원지대를 제외한 전역에 분포하며 상하로는 해발 1,600m 이하에서 자란다. 꽃은 12월에 피고 수꽃은 새 가지의 밑부분에 달리며 노란색의 타원형인데 반해 암꽃은 새 가지의 끝부분에 달리며 자주색 계란 모양이다. 열매는 솔방울이라 하며 열매 조각(씨앗+날개)은 솔방울 하나당 70~100개이고 다음 해 9~10월에 익는다. 늘 푸르름을 자랑하며 전국 각지에서서 자라는 상록 침엽수다. 전국 각지에 수령이 오래된 소나무들이 천연기념물로 보호받고 있다. *역사 솔방울, 솔잎에서도 알 수 있듯이, 순수 한국어로 소나무는 원래 '솔'로 불리었다. 일부 학자들은 나무 중에 우두머리란 뜻인 수리(독수리할 때의 그 '수리')에서 시작되어, 이후 →술→솔로 변형되었다고 보기도 한다. 한자로는 .. 2021. 12. 23.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